[증권형 토큰(STO)] 갤럭시아 에스엠, 갤럭시아 머니트리 상승을 가져온 증권형 토큰은 과연? 진짜일까? (NFT, 금본위제, IPO, ICO 비교)
오늘은 갤럭시아 에스엠, 갤럭시아 머니트리 상승을 가져온 증권형 토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상화폐가 시장에 나오고 블록체인에 대한 엄청난 관심과 더불어 실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마무시한 상승을 기록했죠. 그렇지만 지금은? 사상누각 이라는 말처럼 근본없는 가상화폐는 폭락에 폭락을 경험하고 FTX 가상화계 거래소는 파산의 전주곡을 쓰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극대화 시키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월봉인데요. 지금은 월초에 약간 회복을해서 2800만원대 이지만 최고점인 8000만원대 대비하면 1/3토막 난 상황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가상자산과 관련해 금융당국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었죠.
그런데 갑자기 금융 당국이 정말로 깜짝 놀랄만한 발표를 했는데요. 바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의 발행, 유통을 전면 허용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직접 발표한 이번 결정은 금융규제혁신회의 결과로 나온 것인데요.
시장에서는 바로 반응이 왔죠. 갤럭시아 에스엠, 갤럭시아 머니트, 서울옥션, FSN등이 급등을 기록했습니다.
21년 하반기에 대체 불가 토큰(NFT) 관련 뉴스로 급등을 한적이 있었는데요.
오랜만에 다시 시세를 줬습니다.
모두 대체 불가 토큰(NFT) 관련 종목들이죠.
NFT관련해서는 이전에 포스팅한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1.11.02 - [새로운 혁신] NFT(대체불가 토큰) 의 뜻, 비영리 블록체인 활용법, NTF (X) NFT 관련주
그렇다면
대체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은 무엇일까?
증권형 토큰은 주식,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이나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과 연동한 디지털 자산을 말하는데요. 제일 유명한 가상화폐죠. 비트코인과 같은 코인이나 토큰은 가치가 연동된 자산이 없는 반면 증권형 토큰은 가치가 연동된 자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실체가 있다는 것이고 기존 금융 산업에 좀 더 가까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동된 자산의 종류에 따라 증권법, 자본시장법 등의 규제를 받게 돼 규제의 불명확성도 다른 코인보다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우리는 지난 루나/테라 코인 사태로 가상화폐의 위험성을 경험했는데요.
테라폼랩스 권도형은 이미 범죄자로 낙인찍혀 검찰추적이 어렵고 도피자금의 천국이라 불리는 세르비아로 도망갔다는 뉴스가 나왔죠.
사실 초기에 루나 코인은 미국 달러와 일대일로 가치가 연동돼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평가받던 적이 있었고 한때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위권 안에 들었던 적도 있었죠.
테라는 금·달러·비트코인 같은 다른 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것이 아닌, 자매 코인인 루나와 알고리즘 연동을 통해 시세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가상화폐였던 것이었죠. 그러나 테라 1개당 1달러와 연동시켜놨던 테라 가격이 갑자기 1달러 밑으로 떨어지자 루나 가격도 함께 폭락하기 시작했죠. 이후 두 코인의 가격 하락이 연쇄 작용을 일으키면서 폭락해 결국 루나는 일주일만에 주요 거래소에서 퇴출당하며 말 그대로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이때 갑자기 대규모 매도가 이어지면서 국내외 투자자들이 50조원대 피해를 입었다고 알려졌습니다.
자 갑자기 말이 길어지는데...
그렇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현재 화폐는 어떤가요?
최초의 화폐는 금본위제를 따랐습니다.
즉, 금을 캐는 만큼 은행에 보관을 해놓고 그만큼 화폐를 만들어서 금대신 사용 했던 것이죠. 이렇게 금과 연동된 화폐를 사용하다보니 굉장히 안정적이었습니다. 화폐가치가 유동성때문에 폭락할 우려도 없고 그러다보니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없이 물가는 안정적으로 유지가 될 수 있었죠.
환율 조작은 아예 불가능 했던 시절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장점은 장점이고 단점은 장점빼고 모두 단점인 것이지요. 금을 캐는데 돈이 너무 들어가서 비효율적인 것이 되었고 통화를 통해서 유동성 조절을 하며 경기조절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나온것이 변동환율제죠. 시발점은 닉슨 쇼크인데요. 달러가 금보다 더많이 발행이되자 문제가 된건데요.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1971년 8월 달러와 금의 교환 정지를 발표해 버리고 시장에 엄청난 쇼크를 가져옵니다.
아무튼 그때 이후로 시장에서는 변동환율제. 즉 외환 시장의 수급을 통해서 환율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변동환율제가 대세가 됩니다. 변동환율제는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통제함으로써 경기도 조절할 수 있고 경기에 맞는 정책을 시행 할 수 있는 것이죠.
환율과 관련된 내용은 이전포스팅에도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2.09.29 - 킹달러 현상 (달러 초강세) 원인은? 결국 글로벌 금융 위기 초래하나? 각국 원달러 환율
얘기가 자꾸 삼천포로 빠지는데요..
증권형 토큰은 화폐처럼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통제를 하지는 않지만 가상화폐처럼 실체가 아예없이 사이버상의 머니로만 거래되는 것이 아니며 실물과 연동시킨다는 점에서 가상화폐와는 위험성 측면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겠지요.
간단하게 증권형 토큰이 기존의 화폐 모델 혹은 가상화폐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봐야 겠는데요.
IPO, STO, ICO 비교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공개"를 뜻하죠. 주식시장에 신규로 요건을 갖춘 특정기업의 유가증권을 상장하는 것
STO (Security Token) 증권형 토큰
ICO (Initial Coin Offering) "가상화폐 공개"를 뜻하는데요. 화폐를 발행하는데 법적규제와 통제가 없다보니 위험성이 큼
간단히 정리해 보자면 STO는 IPO와 ICO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고 볼수 있겠죠.
가상화폐는 법적규제가 없다보니 개나 소나 말이나 누구나 발행을 쉽게 하고 실체도 없다보니 결국 이것이 한번 군중심리를 자극하면 튤립투기처럼 말도안되는 투기광풍이 벌어지다가 결국 마지막에는 실체없는 사기에 당했다라는 시나리오로 귀결이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반면 IPO는 철저하게 금융당국에서 관리 감독을 하는데요. 유가증권을 상장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실적과 요건에 대해서 금융당국이 세세하게 감독을 합니다. 요건에 맞지 않으면 시장에서 퇴출시키기도 하고요. IPO 전에도 수많은 심사를 받게 되어 있어 위험성이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STO는 이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얘기하는 이유가 어찌보면 가상화폐와 닮았다고 할 수 있으나 실물 자산과 연동시킨다는 점에서 실체없는 가상화폐와 다르고 금융당국에서 관리감독을 한다는 측면에서 역시 가상화폐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지요. 사이버상의 물건만 다루는 대체불가 토큰(NFT)과도 실물이 연동되기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튤립투기는 이전 포스팅에 있습니다.
2020.12.02 - [튤립투기 & 군중심리] 투자에 있어서 공진현상_신풍제약
오늘은 STO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