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S 활용팁] 정적 VI 를 차트에 표시해 보기 (영웅문 활용)
이전에 VI를 차트에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한적이 있는데요.
수식관리자를 이용해서 차트에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2021.09.12 - [HTS 활용 팁] 영웅문 분봉에 정적 VI 선 만들기, VI(Volatility Interruption)란 무엇일까?
[HTS 활용 팁] 영웅문 분봉에 정적 VI 선 만들기, VI(Volatility Interruption)란 무엇일까?
오늘은 VI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매매시 매매가 어려운 점이 과연 어디서 사야할지 팔아야할지 판단이 쉽지 않아서 어렵죠. 그런데 사람들이 한꺼번에 다같이 사거나 팔거나 하는 지
kiwoom-wang.tistory.com
그런데 사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차트에 VI를 정확히 표시할 수가 없습니다.
1차 VI의 경우에는 시작가 기준으로 10%에 도달하게 되면 정적 VI가 걸리게 되는 것이고요.
2차 VI는 이후에 추가로 10%상승하게 되면 걸리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2 차 VI는 1차 VI 에서 단일가 거래가 되는데 이때 가장 마지막 단일가 체결을 기준으로 10%가 만들어 지는 것이지요.
그래서 정확히 차트에 표시는 안된다고 하네요.
대신 VI 정적 발동 예상가를 표시해 볼수 있는데요.
차트에서 분봉을 더블글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표가 나오게 됩니다.
노랗게 동그라미 친 VI 정적 발동 예상가 를 체크하게 되면 차트에도 VI가 표시되게 됩니다.
단 1차 VI가 먼저 표시 되고 1차 VI에 도달하게 되면 2차 VI가 표시되게 된다고 합니다.
VI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