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몽상_끄적이기

[신의 직장] 연봉이 가장 높은 공공기관은 어디 일까? 공공기관 평균연봉순위, 대기업 연봉

by 좀thethethe 2022. 5. 22.
반응형

요즘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신의 직장이라고 하는 곳은 공공기관이었지요.

사람이 누구나 똑같습니다만 적게 일하고 돈은 많이 받기를 원하는 인간 본성때문일텐데요.

 

돈을 많이 받기는 하지만 죽어라고 일을 시킨다면 신의 직장은 아닐겁니다.

특히 MZ세대의 경우 공공기관 특유의 까라면 까는 수직적인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높고

능력에 따른 보상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 첨차 꺼려하는 추세죠.

아무튼 연봉이 높은 곳을 보면 높은 순위권에서는 공공기관이 빠지지 않는데요.

연봉수준을 정리해 봤습니다.

<공공기관 기관장 연봉순위>

1위 한국산업은행회장의 평균 연봉은 4억3698만원

2위 중소기업은행장으로 4억22326만원

3위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4억2286만원

4위 수출입은행장이 3억9775만원

5위 국립암센터장 3억4816만원,

6위 기초과학연구원장 3억2945만원

7위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3억1926만원

8위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3억1151만원

9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3억338만원

10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3억56만원

 

<공공기관 직원 연봉 순위 (2021년)>

1위 울산과학기술원 1억2058만원

2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억1595만원

3위 한국투자공사 1억1592만원

4위 한국과학기술원 1억1377만원

5위 한국산업은행 1억1370만원

 

 

<참고 대기업 연봉 수준>

카카오 1억7200만원,

삼성전자 1억4400만원,

네이버 1억2915만원, 

SK하이닉스 1억1520만원이다.

삼성 삼성SDI 1억1000만원 

LG화학 1억300만원

기아 1억100만원

현대차 9600만원

LG에너지솔루션 9000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 7900만원

 

울산과학기술원보다 연봉이 높은 곳은 카카오와  삼성전자, 네이버 등 3곳뿐

 

자세한 내용은 기사 참고하세요


“연봉 4억4000만원”…장관 뺨친 ‘신의 직장’ 연봉킹은, 누구?

입력2022.05.22. 오전 6:01
4억3698만원 받은 산업은행 회장 1위
대부분 공공기관장 평균 연봉 장관보다 많아
공공기관 직원 평균 연봉은 7000만원
대기업보다 많고 중소기업 2배 수준

공공기관은 흔히 ‘신의 직장’, ‘꿈의 직장’으로 불린다. 워라밸(Work-life balance·일과 삶의 균형)과 안정적인 고용, 복지 제도 등 직장인들이 원하는 근무 환경과 조건을 고루 갖췄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공공기관을 ‘신의 직장’, ‘꿈의 직장’으로 부르는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바로 높은 연봉이다. 2021년 공공기관의 평균 연봉을 살펴 보니, 기관장들의 평균 연봉은 1억8000만원, 직원들은 7000만원에 달했다. 기관장들의 평균 연봉은 국무총리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부 부처의 장관보다는 4000만원 이상 많다. 직원들의 평균 연봉 역시 대기업보다 높다. 중소기업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차이 난다.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공기관 기관장 평균 연봉이 장관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직원 연봉도 대기업보다 많고, 중소기업보다는 2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리커
공공기관 기관장의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딜까?

1위는 한국산업은행으로, 산업은행 회장의 평균 연봉은 4억3698만원이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1위 자리를 지키던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4억2286만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위는 중소기업은행장으로 4억22326만원이었다.

다음으로는 수출입은행장이 3억9775만원), 국립암센터장 3억4816만원, 기초과학연구원장 3억2945만원,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3억1926만원이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3억1151만원)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3억338만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3억56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상위권 대부분이 금융 공공기관이었고 이중에서도 1~3위에 오른 한국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 한국투자공사는 4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았다. 대통령보다 높은 연봉을 받는 공공기관도 전체의 9.5%에 달했다. 국무총리보다 높은 곳은 129곳으로 37%였다. 장관보다 연봉이 높은 곳은 85.7%인 299곳이었다. 

공공기관 직원 연봉 1위는 울산과학기술원
기관장의 연봉이 이 정도라면 공공기관 직원들의 연봉은 얼마나 될까?
 

지난 5월 1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공공기관 370곳의 직원 평균 연봉은 6976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기본급은 5030만원, 고정수당 602만원, 실적수당 266만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86만원, 성과상여금 967만원 등이다.

공공기간 370곳 중에서 직원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다. 울산과학기술원의 2021년 직원 평균 연봉은 1억2058만원이었다. 2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1595만원)이었고 3위는 한국투자공사(1억1592만원)였다. 다음으로는 한국과학기술원(1억1377만원)과 한국산업은행(1억1370만원)순이었다.
 


349개 공공기관 가운데 지난해 기관장의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산업은행이었다. /한국산업은행
공공기관 기관장의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딜까?
 
1위는 한국산업은행으로, 산업은행 회장의 평균 연봉은 4억3698만원이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1위 자리를 지키던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4억2286만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위는 중소기업은행장으로 4억22326만원이었다. 
 
다음으로는 수출입은행장이 3억9775만원), 국립암센터장 3억4816만원, 기초과학연구원장 3억2945만원,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3억1926만원이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3억1151만원)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3억338만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3억56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상위권 대부분이 금융 공공기관이었고 이중에서도 1~3위에 오른 한국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 한국투자공사는 4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았다. 대통령보다 높은 연봉을 받는 공공기관도 전체의 9.5%에 달했다. 국무총리보다 높은 곳은 129곳으로 37%였다. 장관보다 연봉이 높은 곳은 85.7%인 299곳이었다. 
 

공공기관 직원 연봉 1위는 울산과학기술원
기관장의 연봉이 이 정도라면 공공기관 직원들의 연봉은 얼마나 될까? 
 
지난 5월 1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공공기관 370곳의 직원 평균 연봉은 6976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기본급은 5030만원, 고정수당 602만원, 실적수당 266만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86만원, 성과상여금 967만원 등이다.
 
공공기간 370곳 중에서 직원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다. 울산과학기술원의 2021년 직원 평균 연봉은 1억2058만원이었다. 2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1595만원)이었고 3위는 한국투자공사(1억1592만원)였다. 다음으로는 한국과학기술원(1억1377만원)과 한국산업은행(1억1370만원)순이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지난해 공공기관 직원 평균 연봉 1위를 차지했다. /울산과학기술원
상위권의 경우 평균 연봉이 모두 1억원이 넘는다. 이곳을 포함해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공공기관은 20곳이었다. 2017년만 해도 1억원이 넘는 곳이 5곳이었는데 4년 만에 4배나 늘어난 것이다.
 
연봉 상위 공공기관들을 주요 대기업과 비교해 봐도 연봉이 적지 않다. 공공기관 중 연봉이 가장 높은 울산과학기술원의 연봉을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과 비교하면 상위 4위 수준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시가총액 상위권 대기업 연봉은 카카오 1억7200만원, 삼성전자 1억4400만원, 네이버 1억2915만원, SK하이닉스 1억1520만원이다. 삼성 삼성SDI(1억1000만원)와 LG화학(1억300만원), 기아(1억100만원), 현대차(9600만원), LG에너지솔루션(9000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7900만원) 등은 울산과학기술원보다 낮았다. 울산과학기술원보다 연봉이 높은 곳은 카카오와  삼성전자, 네이버 등 3곳뿐이다.
 
 
상위권 기관이 아니더라도 공공기관의 평균 연봉은 대기업을 능가한다. 통계청이 2022년 2월 발표한 ‘2020년 임금 근로자 일자리 소득 결과’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529만원과 259만원이다. 연봉으로 따지면 6348만 원과 3108만원인 셈이다. 2020년 기준 공공기관 370곳의 평균 연봉이 6874만원이었으니, 이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대기업보다 8.3% 많고, 중소기업보다는 2.2배 높은 수준이다.
 
연봉 높아도 신의 직장 마다하는 취준생
물론 공공기관의 급여를 기업과 단순 비교하는 건 무리가 있다. 울산과학기술원을 비롯해 상위권에 오른 상당수 공공기관은 고급 인력이 집중된 연구기관이기 때문에 급여가 많을 수밖에 없다. 연구기관 특성상 인재 확보가 중요하고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현재 급여 수준도 오히려 낮다는 지적도 나올 수 있다. 
 
대다수 공공기관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자동으로 오르는 호봉제를 채택하고 있다. 민간기업과 달리 대규모 적자가 나도 인력을 감축하거나 급여를 삭감하는 일도 거의 없다. 물론 반대로 흑자가 난다고 해서 민간 기업처럼 직원에게 대규모 성과급을 주는 일도 없으니 평균 이상의 안정된 연봉이 보장된다는 것만으로도 공공기관이 ‘신의 직장’으로 불리기엔 충분하다.
 


공공기관의 높은 연봉을 취준생들이 무조건 매력적으로 받아들이는 건 아니다. 최근에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비해 구직자의 선호도가 낮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tvN
그러나 요즘 취준생들에게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공기관의 높은 연봉과 안정적인 일자리, 복지 제도가 큰 매력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MZ세대의 경우 공공기관 특유의 수직적인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높고 능력에 따른 보상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보다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2021 12월 잡코리아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구직자 535명에게 취업 목표 기업을 물었더니 공기업은 18.3%로 1위인 대기업(29.9%)보다 10%나 선호도가 낮았다. 이는 중견기업(29%), 중소기업(22.8%)보다 낮은 수치다. 2018년 잡코리아가 실시한 같은 조사에서도 구직자들의 공공기관 선호도는 21.1%로 대기업(32%)과 중소기업(35.4%)보다 낮았다. 


강정미 기자 haru@jobsn.co.kr

 

 

 

반응형

댓글